티스토리 뷰


Q. 추석 화재 주의?


최근 5년 동안 추석 연휴 기간에 발생한 화재 사고는 2,241건으로 조사 되었다고 합니다. 화재로 인해 10명의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으며, 10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161억 원의 재산 손실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추석에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전기적 요인, 기계적 요인 등이 있었다고 합니다. 명절 음식을 만들며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하는데요. 식용유를 이용한 음식을 만들 때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합니다.



Q. 명절 음식 화재?


명절 음식을 만들 때에 화재가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유를 살펴보면, 전기 불판을 사용하는 경우 전기적 요인이 가장 크다고 합니다. 사용 전에는 불판의 전기 이음새 부분과 코드 부분을 확인하며, 가스 버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과대 불판을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버너보다 큰 후라이팬을 사용할 경우에는 버너의 가스에 열이 가해져 폭발의 위험성이 굉장히 커집니다. 또한 음식을 만들 때에는 자리를 뜨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보통 후라이팬이나 불판을 가열한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가열을 하고 잊다는 사실을 잊고, 자리를 뜰 경우에는 바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Q. 추석 의외의 화재?


추석 연휴 자동차를 이용해 이동을 많이 합니다. 장시간 자동차가 운행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의한 화재 사고도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자동차를 운행 하기 전 냉각수 점검이 필수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냉각수를 점검 할 때 냉각수 보충 통을 살펴보지만, 실제로 확인해야 할 부분은 라지에이터 부분입니다. 차량을 운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라지에이터 뚜껑을 눌러 열고, 라지에이터 호수 부분을 눌러보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호수를 눌렀을 때 물이 출렁 한다면 정상이고, 물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면, 냉각수를 보충하셔야 합니다. 냉각수 보충 통 만 믿고 운전하시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형 번호판 스티커 과태료 대상  (1) 2016.09.10
전기요금 급증 요금 폭탄 현실?  (0) 2016.08.31
말벌 주의 예방법  (0) 2016.08.29
프록시마b 행성 발견  (0) 2016.08.25
한라산 송라 발견 효능은?  (1) 2016.08.17
댓글